맨위로가기

햐쿠타케 혜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햐쿠타케 혜성은 1996년 아마추어 천문학자 햐쿠타케 유지가 발견한 혜성이다. 이 혜성은 1996년 3월 지구에 근접하여 밝게 빛났으며, 북반구에서 밤 내내 육안으로 관측 가능했다. 햐쿠타케 혜성은 꼬리 길이가 3.8AU로, 율리시스 탐사선이 혜성의 꼬리를 통과하는 등 과학적 연구에 기여했으며, 혜성에서 에테인과 메테인이 최초로 발견되기도 했다. 또한, 혜성에서 X선이 방출되는 현상이 처음으로 관측되었고, 핵의 크기는 약 4.8km로 측정되었다. 햐쿠타케 혜성은 17,000년 주기로 태양을 공전하며, 1996년의 접근 이후 궤도가 변경되어 약 7만 년 후에 다시 태양계 내부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6년 발견한 천체 - 7365 세종
  • 1996년 발견한 천체 - 65803 디디모스
  • 햐쿠타케씨 - 햐쿠타케 사부로
    햐쿠타케 사부로는 일본 제국 해군의 군인으로 해군병학교 수석 졸업 후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 참전했으며, 해군 대장으로 예비역 편입 후 쇼와 천황의 시종장을 지냈다.
  • 햐쿠타케씨 - 햐쿠타케 요시나리
    햐쿠타케 요시나리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로, 세레소 오사카에서 왼쪽 측면 수비수와 수비형 미드필더로 활약했으며 덴소로 이적 후 2000년에 은퇴했다.
  • 비주기 혜성 - 1729년의 혜성
    1729년에 니콜라스 사라바트 신부가 발견한 혜성은 지구에서 3.1 AU 거리에 있었고, 육안으로도 관측 가능할 정도로 밝았으며, 근일점은 목성 궤도 안쪽, 핵 크기는 약 100km로 추정된다.
  • 비주기 혜성 - C/1999 F1
햐쿠타케 혜성
기본 정보
1996년의 햐쿠타케 혜성
발견자햐쿠타케 유지
발견일1996년 1월 31일
다른 이름1996년의 대혜성
궤도 정보
궤도 기준점2450400.5
원일점약 500,000만 km (1320 AU) (진입 시) / 약 5,300,000만 km (3500 AU) (진출 시)
근일점3440만 km (0.2301987 AU)
긴반지름약 25500억 km (1700 AU) (진출 시)
궤도 이심률0.9998946
공전 주기약 17,000년 (진입 시) / 약 72,000년 (진출 시)
궤도 경사124.92246°
승교점 경도188.05766°
근일점 인자130.17218°
물리적 특징
지름4.2 km
자전 주기6시간

2. 발견

햐쿠타케 유지는 1996년 1월 31일에 햐쿠타케 혜성을 발견했다.[41] 햐쿠타케 유지는 도시 불빛을 피해 가고시마현에서 혜성을 찾던 중이었으며, 대물렌즈 150mm의 쌍안경을 사용했다.[46] 그는 발견 당일 아침, 일본 국립천문대에 혜성 발견을 보고했다.[47]

햐쿠타케 혜성은 햐쿠타케 유지가 발견한 두 번째 혜성이었기 때문에 "햐쿠타케 2 혜성"이라고도 불린다. 햐쿠타케는 몇 주 전 햐쿠타케 1 혜성(C/1995 Y1)을 발견했고,[48] 두 번째 혜성은 첫 번째 혜성 주변을 관찰하다가 거의 비슷한 지점에서 발견했다.[47]

발견 당시 혜성의 겉보기등급은 11.0이었고, 코마는 2.5 각분만큼 퍼져 있었으며, 태양으로부터 2 AU 떨어져 있었다.[49] 이후 1월 1일에 찍힌 사진에서 혜성이 발견되었는데, 이 사진에서 혜성은 태양으로부터 2.4 AU 떨어져 있었고 겉보기등급은 13.3이었다.[50]

3. 궤도

햐쿠타케 혜성의 궤도가 계산되자, 과학자들은 이 혜성이 1996년 3월 25일에 지구로부터 0.1 AU 떨어진 지점을 지나갈 것임을 바로 알아내었는데,[51] 이 혜성만큼 지구에 가깝게 접근한 혜성은 지난 세기 동안 4개밖에 없었다.[52] 혜성의 궤도를 역추적한 결과 이 혜성이 17,000년 전에 내태양계로 들어왔었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는데,[42] 이는 이 혜성이 태양 주변을 지나간 횟수가 상당하며,[50] 1996년에 혜성이 오르트 구름에서 바로 온 것이 아님을 시사했다.

햐쿠타케 혜성은 장주기 혜성이다. 이전 태양계 내 통과 전에는 궤도 주기가 약 15,000년이었지만, 태양계의 거대 행성으로부터의 중력 영향으로 현재 이 주기는 약 72,000년으로 늘어났다.

혜성은 지구에 가깝게 접근할 때 밝기가 최대가 되고 경로 때문에 근접 시기에 북반구 관측자들에게 밤새도록 관찰될 수 있었는데, 북극성에 매우 가깝게 지나갔기 때문이다. 이는 특이한 현상인데, 대부분의 혜성은 혜성이 가장 밝을 때 하늘에서 태양에 가깝게 위치하여 혜성이 완전히 어둡지 않은 하늘에 나타나기 때문이다.[16]

4. 지구 접근

햐쿠타케 혜성은 1996년 3월 초부터 맨눈으로 볼 수 있게 되었다. 3월 중순까지는 4등급 밝기와 5° 길이의 꼬리를 보여 비교적 평범했지만, 지구에 가까워지면서 급격히 밝아지고 꼬리도 길어졌다. 3월 24일에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천체 중 하나가 되었고, 꼬리는 35°까지 뻗었으며, 뚜렷한 파랑 및 초록색을 띠었다.[50]

3월 25일은 혜성이 지구에 가장 근접한 날이었다. 햐쿠타케 혜성은 30분당 0.5°(보름달 크기)의 속도로 매우 빠르게 움직여서, 몇 분만으로도 움직임이 눈으로 보일 정도였다. 관측자들에 따르면, 혜성의 밝기는 0등급이었으며, 꼬리는 80°까지 늘어났었다.[50] 혜성이 중위도 지방에서 천정을 지날 무렵, 혜성의 코마는 약 1.5°~2°(보름달 크기의 약 4배)까지 늘어났다.[50] 맨눈으로도 혜성의 앞부분이 녹색임을 뚜렷하게 볼 수 있었는데, 이는 혜성이 2가 탄소(C2)를 강하게 방출했기 때문이다.[17]

1996년 3월 25일 지구에 가장 가까이 접근했을 때의 혜성


햐쿠타케 혜성은 며칠 동안만 가장 밝았기 때문에, 이듬해 나타난 헤일-밥 혜성만큼 대중의 상상력을 사로잡지는 못했다. 특히 유럽에서는 기상 조건이 좋지 않아 혜성이 절정에 달했을 때 보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11]

대한민국에서는 3월 26일 저녁부터 27일 새벽까지 관측 최적기였으나, 전국적으로 구름이 껴 관측이 어려웠다.[60]

4. 1. 지역별 관측

햐쿠타케 혜성은 천구의 남쪽으로부터 올라와 북극성을 지나는 궤도로 이동했기 때문에, 남반구에서는 혜성이 접근할 때 옅게 관측되다가 정작 최근접 시기에는 보이지 않았고,[55] 5월 중순부터 다시 관측 가능했다.[56]

유럽에서는 최근접 전날인 3월 24일까지는 날씨가 좋았지만, 최근접일인 3월 25일에는 구름이 껴 영국 북쪽 오크니 제도에서만 혜성이 간신히 보일 정도였다.[50]

우주 공간에서도 혜성이 관측되었는데, STS-76에 참가한 애틀랜티스 우주왕복선 승무원들은 임무 5일차 아침, 혜성이 지구에 최근접할 때쯤 혜성을 보았다고 밝혔다.[57]

대한민국에서는 3월 24일부터 28일까지 육안 관측이 가능했으며, 혜성이 북극성에 접근하면서 고도가 높아지는 26일 저녁 9시부터 27일 새벽까지가 관측 최적기였다.[54][58][59] 서울 어린이회관, 엑스포과학공원 등에서 관측 행사가 열렸고 경희대학교 수원캠퍼스에서는 학내 망원경을 개방하기도 했지만,[58][59] 당일 전국적으로 구름이 껴 대부분 무산되었다.[60]

5. 근일점 통과 및 이후

햐쿠타케 혜성은 지구에 근접한 이후 밝기가 2등급으로 내려갔다. 5월 1일 태양으로부터 수성보다 가까운 0.23 AU 지점에 있는 근일점을 지났으며, 혜성 꼬리도 다시 한 번 밝게 빛났다. 하지만 이때는 혜성과 태양이 매우 가까워 쉽게 보이지 않았다. SOHO 태양 관측 위성은 햐쿠타케 혜성이 근일점을 지날 때 혜성을 관측하였다.[61]

근일점 통과 후 햐쿠타케 혜성은 급격히 어두워졌으며, 5월 말에는 더 이상 맨눈으로 보이지 않았다. 이후 혜성은 남쪽 하늘로 옮겨갔지만, 근일점 통과 후에는 혜성을 관측하는 횟수가 급격히 줄어들었다. 마지막 혜성 관측은 11월 2일이었다.[62]

햐쿠타케 혜성의 공전 주기는 원래 약 17,000년이었으나, 1996년에 태양계로 들어올 때 목성형 행성들이 중력 섭동을 일으켜 혜성의 궤도가 찢어지다시피 늘어나버렸기 때문에, 혜성이 다음에 내태양계로 들어오는 것은 7만 년 후이다.[3][11]

6. 과학적 성과

햐쿠타케 혜성에 대한 과학적 관측으로 여러 중요한 발견이 이루어졌다. 가장 놀라운 점은 혜성에서 X선 방출이 최초로 발견되었다는 것이다.[68] 이 X선은 태양풍에 포함된 하전 입자가 혜성의 코마의 중성 원자와 상호 작용하여 방출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X선 방출 원리는 태양풍의 하전 입자와 혜성에서 방출되는 입자 간의 상호작용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69]

ROSAT 인공위성이 촬영한 햐쿠타케 혜성의 X선 방출.


또한, 율리시스는 햐쿠타케 혜성의 핵에서 500000000km 이상 떨어진 거리에서 우연히 혜성의 꼬리를 통과했다. 이로써 햐쿠타케 혜성은 지금까지 알려진 혜성 중 가장 긴 꼬리를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햐쿠타케 혜성은 장주기 혜성이다. 이전 태양계 통과 전에는 궤도 주기가 약 15,000년이었지만, 태양계 거대 행성중력 영향으로 현재 주기는 약 72,000년으로 늘어났다.

6. 1. 꼬리를 통과한 우주선

율리시스 탐사선은 1996년 5월 1일 의도치 않게 햐쿠타케 혜성의 꼬리를 통과했다.[63][19] 1998년 천문학자들은 율리시스가 보내온 데이터에서 대량의 양성자가 검출되고, 강한 자기장이 검출된 시간대가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탐사선이 매우 활동적인 천체 주변을 지나갔다는 것을 시사했고, 해당 천체는 "아마도" 햐쿠타케 혜성일 것이라고 여겨졌지만, 확실한 증거는 없었다.[20]

2000년, 두 팀이 같은 사건을 각자 조사하였다. 자기장을 연구하던 팀은 자기장 데이터가 혜성으로부터 방출되는 이온 및 플라스마 꼬리로부터 유래했다고 한다면 설명된다는 사실을 알아내었고, 탐사선 주변에 있던 혜성을 찾기 시작했지만 3.3 AU 밖에 있던 햐쿠타케 혜성 이외에는 아무것도 찾을 수 없었다. 계산 결과에 따르면 햐쿠타케 혜성은 4월 23일에 율리시스 탐사선과 만났었다. 율리시스의 감지기에 기록된 입자들은 햐쿠타케 혜성으로부터 나온 것이라고 확실시되고 있다.[21] 한편 탐사선의 이온 분석기를 연구하던 팀은 특정 시간대에 이온 입자 수가 폭증하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구성 성분을 조사한 결과 확실히 혜성에서 나온 입자들이라는 것이 밝혀졌다.[22]

율리시스 탐사선의 기록에 따라, 햐쿠타케 혜성의 꼬리는 약 3억 6천만 킬로미터(3.8 AU) 길이이며, 꼬리 길이가 2.2 AU였던 1843년의 대혜성을 제치고 현재까지 가장 긴 꼬리를 가진 혜성으로 남아 있다.[21]

6. 2. 화학적 구성

천문학자들은 햐쿠타케 혜성에서 에테인메테인을 발견하였으며, 이 두 물질은 혜성에서 처음 발견된 물질들이었다. 화학적 분석 결과 에테인과 메테인의 존재 비율은 거의 같았고, 따라서 태양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는 얼음에서 에테인과 메테인이 승화함을 추측할 수 있다. 햐쿠타케 혜성을 이루고 있는 얼음들은 약 20 K 이하의 온도에서 생성되었으며, 평균보다 밀도가 좀 더 높은 성간 구름에서 형성되었다고 여겨진다.[66]

분광기를 이용한 분석을 통해 얼음 속의 중수소의 비율이 밝혀졌는데,[67] 중수소 대 경수소의 비율(D/H 비율)은 3×10-4였으며, 참고로 지구의 값은 1.5×10-4이다. 이 수치는 다른 혜성, 헤일-밥 혜성이나 핼리 혜성들과 비슷하며, 지구에 물이 어떻게 생겨났는지를 설명하는 이론에서는 혜성을 주요 공급원으로 보지만, 중수소 대 경수소 비율이 차이가 너무 크기 때문에 이론에 문제를 초래한다.[25]

관측을 통해 확인된 물질로는, 이소시안화 수소(HNC), 아세토니트릴(CH3CN) 등의 니트릴[36][37], 이소시안산(HNCO) 등의 질소 함유 화합물[38], 황산 카르보닐(OCS), 이황화 탄소(CS2), 황 분자(S2) 등의 황을 포함하는 분자가 보고되었다.[39][37]

6. 3. X선 방출



햐쿠타케 혜성이 과학계에 선사한 선물 중 하나는 혜성에서 최초로 X선을 감지했다는 것이다. ROSAT 탐사선을 통한 측정 결과 햐쿠타케 혜성은 매우 강하게 X선을 방출하고 있었다.[68] 혜성에서 X선 방출을 관측한 것은 햐쿠타케 혜성이 처음이었지만, 얼마 가지 않아 천문학자들은 거의 모든 혜성이 X선을 방출한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햐쿠타케 혜성의 X선 방출 모습에서, 밝기가 가장 밝은 부분은 초승달 모양을 이루고 있었으며, 초승달 모양에서 볼록한 부분이 태양 방향을 향하고 있었다.

X선이 방출되는 원리는 두 가지 원리가 합쳐졌다고 추측되며, 태양풍의 하전 입자와 혜성에서 방출되는 입자 간의 상호작용이 중요한 작용을 보인다.[69] 천체가 X선을 반사하는 것은 등 매우 흔하게 찾아볼 수 있지만, 햐쿠타케 혜성에서 방출되는 먼지 수를 최대치로 잡아도 먼지들이 매우 옅고 퍼져 있기 때문에 방출되는 X선의 양을 설명할 수 없다. 2000년에 찬드라 X선 망원경을 통한 혜성 C/1999 S4 관측에서, 혜성에서의 X선 방출의 원인은 태양풍에 포함된 탄소, 산소, 질소 이온과 혜성의 중성 , 산소수소가 서로 충돌하여 발생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6. 4. 핵 크기 및 활동성

아레시보 천문대에서의 레이다 관측 결과에 따르면, 햐쿠타케 혜성 핵의 지름은 4.8km이며, 초속 몇 미터 정도의 속도로 방출되는 먼지만한 입자들로 "덮여" 있다. 적외선 및 다른 전파 관측에서도 같은 결과가 나왔다.[70][71]

핼리 혜성(15km)이나 헤일-밥 혜성(60km)과 다르게, 햐쿠타케 혜성의 핵은 매우 작기 때문에, 이론적으로는 실제로 보였던 것보다 매우 어두웠어야 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대부분의 혜성들은 표면 중 일부만 활성화되어 있지만, 햐쿠타케 혜성은 거의 모든 표면이 활성화되어 먼지가 대량으로 방출되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햐쿠타케 혜성에서의 먼지 방출량은 3월에 2천kg/s에서 5월에 3만kg/s로 증가했으며, 방출 속도는 50m/s에서 500m/s로 10배 증가하였다.[72][73]

혜성에서 방출된 물질들을 조사함으로서, 햐쿠타케 혜성의 자전 주기를 알아낼 수 있었다. 혜성이 지구를 지나갈 무렵, 대형 입자 무리가 태양 방향으로 매 6.23시간마다 방출되었으며, 작은 분출 몇 개를 더 조사한 결과 이 숫자가 햐쿠타케 혜성의 자전 주기임이 확인되었다.[74]

1996년 4월 4일 허블 우주 망원경이 촬영한 햐쿠타케 혜성, 적외선 필터 사용


허블 우주 망원경이 촬영한 햐쿠타케 혜성의 혜성 핵 주변 지역. 일부 파편이 떨어져 나가는 모습이 보인다.

참조

[1] 논문 Comet 1996 B2 http://www.cbat.eps.[...] 2014-12-22
[2] 웹사이트 Comet Hyakutake: Orbital elements and 10-day ephemeris http://www.eso.org/p[...] European Southern Observatory
[3] 웹사이트 Barycentric Osculating Orbital Elements for Comet Hyakutake (C/1996 B2) http://home.comcast.[...] 2011-01-30
[4] 웹사이트
[5] 웹사이트 Comet C/1996 B2 Hyakutake http://www2.jpl.nasa[...] NASA 2007-01-09
[6] 웹사이트 How Yuji Hyakutake Found His Comet http://www.skyandtel[...] 2009-02-03
[7] 웹사이트 How Comet Hyakutake B2 Was Discovered http://www2.jpl.nasa[...] NASA 1996-04
[8] 간행물 Press Statement by Mr. Yuji Hyakutake Discoverer of Comet Hyakutake http://www2.jpl.nasa[...]
[9] 논문 Comet C/1996 B2 (Hyakutake) 1996-02
[10] 간행물 Press Information Sheet: Comet C/1996 B2 (Hyakutake) http://www.cfa.harva[...] Harvard-Smithsonian Center for Astrophysics 1996-11-20
[11] 논문 Comet C/1996 B2 (Hyakutake): The Great Comet of 1996
[12] 논문 8.35 and 14.35 GHz continuum observations of comet Hyakutake C/1996 B2
[13] 웹사이트 Comet Hyakutake to Approach the Earth in Late March 1996 https://www.eso.org/[...] European Southern Observatory 1996-02-16
[14] 웹사이트 Hale-Bopp and Hyakutake https://www.pbs.org/[...]
[15] 논문 Cometary Brightness Variation and Nucleus Structure (Paper dedicated to Professor Hannes Alfvén on the occasion of his 70th birthday, 30 May 1978.) 1978-05
[16] 서적 Sky Guide Africa South – 2020 https://books.google[...] Penguin Random House South Africa
[17] 웹사이트 Skartlien Images of Comet 1996 B2 Hyakutake https://www2.jpl.nas[...] NASA/JPL
[18] 웹사이트 Nakano Note 838 http://www.oaa.gr.jp[...]
[19] 뉴스 Comet Hyakutake makes a mark on ''Ulysses'' https://physicsworld[...] PhysicsWeb 2000-04-06
[20] 간행물 Ulysses's encounter with comet Hyakutake ESA Publications Division 2002-11
[21] 논문 Identification of comet Hyakutake's extremely long ion tail from magnetic field signatures
[22] 논문 Interception of comet Hyakutake's ion tail at a distance of 500 million kilometres https://deepblue.lib[...]
[23] 논문 Cometary ions detected by the Cassini spacecraft 6.5 au downstream of Comet 153P/Ikeya-Zhang 2020-05
[24] 논문 Detection of Abundant Ethane and Methane, Along with Carbon Monoxide and Water, in Comet C/1996 B2 Hyakutake: Evidence for Interstellar Origin
[25] 논문 Deuterated Water in Comet C/1996 B2 (Hyakutake)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Origin of Comets
[26] 논문 Comet Hyakutake Blazes in X-rays
[27] 논문 X-ray Emission from Comets 2002-05
[28] 논문 Discovery of X-ray and Extreme Ultraviolet Emission from Comet C/Hyakutake 1996 B2 https://zenodo.org/r[...]
[29] 논문 Charge Exchange-Induced X-Ray Emission from Comet C/1999 S4 (LINEAR) 2001-05
[30] 논문 Constraints on the Nucleus and Dust Properties from Mid-Infrared Imaging of Comet Hyakutake
[31] 논문 The Nucleus of Comet Hyakutake (C/1996 B2)
[32] 논문 Dust environment of Comet Hyakutake 1996 B2
[33] 논문 Submillimeter Continuum Observations of Comet Hyakutake (1996 B2)
[34] 논문 Activity and the Rotation Period of Comet Hyakutake (1996 B2)
[35] 웹사이트 Barycentric Osculating Orbital Elements for Comet Hyakutake (C/1996 B2) 2011-01-30
[36] 논문 Spectroscopic evidence for interstellar ices in comet Hyakutake. https://www.nature.c[...] Nature 1996-10-03
[37] 간행물 彗星の有機分子とその物質進化への役割 https://doi.org/10.1[...] 2016
[38] 논문 Spectroscopic observations of comet C/1996 B2 (Hyakutake) with the Caltech Submillimeter Observatory. https://doi.org/10.1[...] 1997
[39] 논문 Detection of OCS in comet Hyakutake (C/1996 B2). https://doi.org/10.1[...] 1997
[40] 저널 Discovery of X-ray and Extreme Ultraviolet Emission from Comet C/Hyakutake 1996 B2 https://doi.org/10.1[...]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41] 문서 IAU Circular No. 6299 http://www.cbat.eps.[...]
[42] 웹인용 Barycentric Osculating Orbital Elements for Comet Hyakutake (C/1996 B2) http://home.comcast.[...] 2011-01-30
[43] 웹인용 Comet Hyakutake: Orbital elements and 10-day ephemeris http://www.eso.org/p[...] European Southern Observatory
[44] 웹인용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https://ssd.jpl.nasa[...]
[45] 웹인용 Comet C/1996 B2 Hyakutake http://www2.jpl.nasa[...] NASA 2007-01-09
[46] 웹인용 How Yuji Hyakutake Found His Comet http://www.skyandtel[...] 2018-02-07
[47] 보도자료 Press Statement by Mr. Yuji Hyakutake Discoverer of Comet Hyakutake http://www2.jpl.nasa[...] 2007-02-13
[48] 웹인용 How Comet Hyakutake B2 Was Discovered http://www2.jpl.nasa[...] NASA (trans. from Gekkan Tenmon) 1996-04
[49] 보도자료 Press Information Sheet: Comet C/1996 B2 (Hyakutake) http://www.cfa.harva[...] Harvard-Smithsonian Center for Astrophysics 2007-10-16
[50] 저널 Comet C/1996 B2 (Hyakutake): The Great Comet of 1996 1998
[51] 저널 8.35 and 14.35 GHz continuum observations of comet Hyakutake C/1996 B2 1996
[52] 웹인용 COMET HYAKUTAKE TO APPROACH THE EARTH IN LATE MARCH 1996 http://www.eso.org/p[...] European Southern Observatory
[53] 뉴스 햐쿠타케 혜성 25일께 육안관측 가능 http://newslibrary.n[...] 2018-02-07
[54] 뉴스 햐쿠타케 혜성 우주쇼 대장관 "26일밤 하늘을 보세요" http://newslibrary.n[...] 2018-02-07
[55] 웹인용 Hyakutake: Comet with a Long, Long Tail https://www.space.co[...] 2013-02-28
[56] 웹인용 Comet C/1996 B2 Hyakutake https://nssdc.gsfc.n[...] 2004-12-30
[57] 웹인용 STS-76 Day 5 Highlights https://science.ksc.[...] NASA 2018-02-13
[58] 뉴스 <현장>`햐쿠타케 혜성 관측의 밤' https://news.naver.c[...] 1996-03-26
[59] 뉴스 금세기 최대혜성 관측 26일이 최적 https://news.naver.c[...] 1996-03-13
[60] 뉴스 <현장>궂은 날씨로 햐쿠타케 혜성 관측 무산 https://news.naver.c[...] 1996-03-27
[61] 보도자료 Comet Hyakutake to Approach the Earth in Late March 1996 http://www.eso.org/o[...] European Southern Observatory 2007-02-20
[62] 웹인용 Nakano Note 838 http://www.oaa.gr.jp[...] 2002-05-06
[63] 뉴스 Comet Hyakutake makes a mark on ''Ulysses'' http://physicsworld.[...] PhysicsWeb 2009-03-25
[64] 저널 Identification of comet Hyakutake's extremely long ion tail from magnetic field signatures 2000
[65] 저널 Interception of comet Hyakutake's ion tail at a distance of 500 million kilometres 2000
[66] 저널 Detection of Abundant Ethane and Methane, Along with Carbon Monoxide and Water, in Comet C/1996 B2 Hyakutake: Evidence for Interstellar Origin 1996
[67] 저널 Deuterated Water in Comet C/1996 B2 (Hyakutake)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Origin of Comets 1998
[68] 저널 Comet Hyakutake Blazes in X-rays 1996
[69] 저널 Discovery of X-ray and Extreme Ultraviolet Emission from Comet C/Hyakutake 1996 B2
[70] 저널 Constraints on the Nucleus and Dust Properties from Mid-Infrared Imaging of Comet Hyakutake
[71] 저널 The Nucleus of Comet Hyakutake (C/1996 B2)
[72] 저널 Dust environment of Comet Hyakutake 1996 B2
[73] 저널 Submillimeter Continuum Observations of Comet Hyakutake (1996 B2)
[74] 저널 Activity and the Rotation Period of Comet Hyakutake (1996 B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